메타버스란
‘메타버스’는 가공 또는 초월의 메타(Meta)와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과 현실 세계가 융합된 공간이다. 메타버스에 사용되는 기술은 혼합현실(XR),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네트워크, 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이다.
메타버스는 비대면 환경에 힘입어 게임, 엔터테인먼트, 제조, 유통, 광고,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게임업계의 메타버스 활용이 가장 적극적이다. 게임 외에 플랫폼에서 유명 가수의 공연 개최 등 메타버스 콘텐츠를 확대하여 사용자 수와 수익 창출 모델을 확장하고 있다. 제조업은 디지털 트윈, 원격 정비 등에 활용하고 있다. 의류업계는 가상 착용 경험을 제공해 반품률을 낮추고, 광고업계는 온라인 게임 화면에서 상품 광고를 하고 있다. 교육에서는 실제 교실이나 산업현장을 구현하여 비대면 교육을 진행한다.
메타버스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작년 4787억 달러(약 564조 원)에서 2024년 7833억 달러(약 923조 원)가 될 것으로 보인다(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미래 시장 규모가 최대 8조 달러(약 9434조 원)가 될 수도 있다(모건스탠리). 국내는 아직 대상 업종과 기업이 특정되지 않아, 시장 규모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상 융합공간의 웹 3.0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차세대 인터넷 플랫폼이 될 수가 있다. 실감 기술을 통한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아바타를 통한 현실 경험의 확장, 시공간 제약을 넘는 협업, 소통, 디지털 자산의 생산, 유통, 플랫폼 간 완전한 상호 연동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메타버스 게임에 나이키도 합류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가 메타버스 게임 사업화에 나선다. 앞서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 '나이키랜드'를 만들며 메타버스 수요층을 공략했던 나이키는 지난해 인수한 패션 스타트업을 통해 관련 시장에 도전장을 던질 계획이다.
나이키가 '아티팩트'(RTFKT)의 메타버스 게임인 '메타던전' 관련 상표권을 미국, 한국 등 글로벌 지역에 각각 출원했다. RTFKT는 지난해 12월 나이키가 인수한 패션 NFT 스타트업이다.
RTFKT가 개발중인 메타던전은 자유도 높은 '샌드박스 장르'를 기반으로 많은 사람들이 같은 공간에 모여 소통하는 '메타버스식 구성'과 던전을 돌파하는 '플레잉 요소'가 결합됐다. 게임 타이틀에서 알 수 있듯 '메타'(메타버스 요소)와 '던전'(게임 플레이 기능)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달 말 공개된 플레이 티저 영상에서는 캐릭터별로 개성 있는 의상이 등장해 커스터마이징 기능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메타던전의 존재는 이 달부터 진행된 '더샌드박스'의 '알파 시즌2'를 통해 알려졌다. 더샌드박스 알파 시즌은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더샌드박스 플랫폼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이벤트로, 시즌마다 약 한 달간의 기간이 주어지며 이번 시즌2에서는 관련 콘텐츠를 플레이한 후 △래플 참여 △소셜 채널 액티비티 참가 △알파 패스 구매 등을 통해 추첨으로 최대 1000SAND까지 얻을 수 있다. 메타던전은 더샌드박스의 알파 시즌2 가운데 '게임 메이커 펀드(GMF) 제작 경험' 4종 중 하나로 채택됐다.
이미 지난달 말부터 RTFKT의 메타버스 게임 개발이 알려진 바, 변수는 모회사인 '나이키' 사업 방향으로 귀결된다. 나이키는 지난해부터 스포츠 브랜드를 넘어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사업 다각화에 돌입했다. 특히 '메타버스'는 나이키가 꾸준히 관심을 보이는 신사업 분야 중 한 곳이다.
그렇게 선택한 플랫폼이 '로블록스'였다. 지난해 나이키는 로블록스에 인터랙티브 스포츠 소재로 나만의 아바타를 꾸밀 수 있는 '나이키랜드'를 오픈했다. 나이키랜드에서 운동을 즐기는 한편 나이키 의류와 신발을 취향에 맞게 선택해 커스터마이징하는 가상공간을 구축하기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나이키는 지난해 10월부터 미국특허청(USPTO)에 '조던', '저스트 두 잇' 등 브랜드 네이밍과 가상현실용 로고부터 상품에 이르는 상표권들을 꾸준히 출원하며 메타버스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지난달 초 <로이터> 등 미국 현지 매체들은 "나이키가 리셀 플랫폼 스톡엑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며 "이는 허락없이 나이키 상품 관련 NFT를 판매한 것이 상표권을 침해했다는 주장에서 비롯됐다"고 전할 만큼 나이키는 메타버스에 진심인 상황이다.
이런 나이키의 레이더망에 포착된 지원군이 바로 RTFKT였다. 2020년 설립된 RTFKT는 패션 NFT 전문 스타트업이다. 디지털 아티스트인 '푸어셔스'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판매한 3종의 NFT 운동화는 공개 7분여만에 600켤레가 넘는 수량이 완판될 만큼 디지털 시장에 높은 주목도를 받았다. 다양한 디지털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진행할 만큼 NFT 관련 기술력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메타버스 사업의 주요 축인 콘텐츠와 NFT 기술력 확보가 필요했던 나이키에게 안성맞춤일 수 밖에 없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메타던전은 개발 주체인 RTFKT와 메타버스 사업을 전개중인 나이키 모두에게 터닝포인트가 될 수 밖에 없는 콘텐츠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나이키도 일찌감치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며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예고했다. 지난달 말 미국특허청에 'METADUNGEON' 상표권을 출원한 나이키는 이달 들어 한국에서도 자사 명의로 상표권을 내며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나섰다. 현재 게임성을 보완하며 더샌드박스 플랫폼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인 만큼 정식 출시까지 얼마 만큼의 시간이 소요될 지는 알 수 없으나 분명한 것은 나이키가 RTFKT를 활용해 메타버스 게임 시장에 발을 들이는 것이다.
게임업계의 한 관계자는 "RTFKT가 메타버스 게임 개발 소식을 알릴 때까지만 해도 업계에서 나이키를 언급하지 않았던 배경에는 관련 콘텐츠가 프로토타입에 그칠 가능성에 무게를 뒀기 때문"이라면서도 "미국은 물론 한국을 포함한 해외 지역에 해당 상표권을 출원하는 것을 볼 때 나이키랜드와는 또 다른 수요층을 공략하는 모습이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http://m.hankooki.com/m_wk_view.php?m=&WM=wk&WEB_GSNO=7067268&s_ref=nv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38354?cds=news_edit
댓글